만성급성신우신염증상원인치료관리신우염
신우신염: 신우염
신장 세균이 감염되어 요로감염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보통 방광에서 균이 신장으로 올라가면서 발생하는데 균이 혈액을 통해 신장에서 감염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신우신염의 원인: 신우염의 원인
요로 감염의 대부분은 대장균입니다.
감염 경로는 요도에서 방광으로 올라가는 감염이 대부분입니다.
이 질환은 20~50대 여성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는 요도 길이가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짧아 세균이 방광으로 들어가기 쉽기 때문입니다.
이는 해부학적, 기능적 이상 없이도 발생하며 비뇨기계 관련 수술이나 기계적 조작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우신염 증상 : 신우염 증상
일반적인 증상으로 근육통이나 컨디션 불량, 고열, 구토, 오심, 요통이 있습니다.
또한 등 쪽 허리 바로 위에서 시작하여 옆구리에 퍼지는 심한 통증이 있습니다.
방광염을 동반할 때는 배뇨 시 통증이나 긴급뇨, 잔뇨감, 빈뇨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혈뇨를 보이기도 합니다.
신우신염 치료 : 신우염 치료
신우신염은 소변, 혈액 채취, 배양 검사를 통해 원인을 특정합니다.
원인균에 적합한 항생제로 2주 정도 치료하고 중요한 것은 증상이 좋아지더라도 정해진 기간에 약을 꾸준히 섭취해야 합니다.
항생제 사용기간이 끝나면 감염이 없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소변검사를 다시 시행하게 됩니다.
신우신염 치료는 보통 즉시 효과가 나타나 신장에 영구적인 손상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신장 결석과 같은 근본적인 질병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치료해야 합니다.
급성 신우신염
신장과 신우 등 상부 요로계가 감염된 것을 의미합니다.
방광과 요도 감염은 하부 요로 감염이라고 합니다.
1. 급성 신우신염의 원인 세균(박테리아)이 방광으로부터 신장에 역상가리, 혈류를 통해서 감염시킵니다.
또 대장 균에 감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항생 물질의 사용이 늘어 항생 물질 내성균의 감염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2. 급성 신우신염의 증상 급성 신우신염은 고열, 오한, 권태, 백혈구증 죽음 등 뒤의 늑골 척추 각도를 조금 치면 아픕니다.
요도염이나 방광염이 선행하는 경우가 많고 배뇨시 통증을 느끼거나, 배뇨한 뒤에 또 소변 보고 싶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3. 급성 신우신염 치료 약물 치료의 경우 방광 경련을 완화하기 위해서 항 경련제를 사용하고 일반적으로는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투약 후의 배양 검사 결과에 따라서 약을 변경합니다.
증상에 응하고 경구 항생 물질 또는 입원하고 정맥 주사 항생 물질을 투여합니다.
치료 기간은 환자의 상황이나 병력, 증상에 의해서 바뀌는 일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1~2주입니다.
신우신염이 심한 형태인 신장 농양이 발생한 경우, 농양 배액 법이 필요하게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항생제를 6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성 신우신염
만성 신우신염은 급성 신우신염의 반복으로 야기된 것을 의미합니다.
1. 만성 신우신염의 원인 만성 신우신염은 통상 급성 신우신염이 만성화되고 감염된 요관에 소변이 역류하거나 만성적 막힘이 있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그러나 급성 신우신염의 전력 없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에 결핵, 종양, 결석, 기형 등 요로의 형태 이상, 요도 협착 폐쇄 등 진통제 과다 복용도 원인이 됩니다.
2. 만성 신우신염의 증상 만성 신우신염은 급성 신우신염보다 증상이 확실하지 않아요. 다만 전신 쇠약, 옆구리 통증, 단백뇨, 혈뇨, 세균 오줌 같은 소변 이상 증상이 장기간 계속되는 증상이 전혀 없는 만성 신부전으로 악화되기도 합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 옆구리 부분의 정교한 통증, 배뇨 후 잔뇨감, 소변 탁, 발열 등이 생기는 일이 있습니다.
3. 만성 신우신염 치료 신우신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뇨 중의 염증 세포나 세균을 찾아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초음파, 신장 스캔, CT등의 검사를 하고 원인 질환, 신장의 상처를 관찰합니다.
방광 요관 역류는 배설성 방광 이관 조영술을 실시하고 진단합니다.
신경 기인성 방광은 초음파를 잔뇨 양으로 확인하고 진단합니다.
만성 신우신염으로 손상이 신장 주변의 조직까지 확대하고 만성 신부전에 발전하면 신장 기능을 잃을 위험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신장 기능 검사와 소변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들 검사는 국민 건강 진단을 포함한 대부분의 건강 진단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신우신염의 관리 방법
– 병원에서 진단받은 항생제 치료와 함께 충분한 휴식과 수분을 섭취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여성은 생리현상 후 성생활 후 생식기 주변을 깨끗이 닦는 것이 중요합니다.
- 소변이 급할 때는 참지 말고 소변을 볼 때는 무리하게 힘을 주면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