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3월 1일이며 3.1운동을 기리며 항일투쟁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TV에서 볼 수 있는 날이기도 합니다.
요즘은 시간이 많이 흘렀기 때문에 조선이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위해 싸운 역사적 의의나 그 시기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별로 관심을 가지지 않지만, 오히려 오늘이 그렇다 보니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월요일 어머니와 함께 밀양 외할머니 댁에 들렀다가 밀양에서 태어나고 돌아가신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는 해천항일운동테마거리를 잠깐 들렀다.
해천 항일운동 테마거리를 보면 밀양의 주요 활동과 독립운동가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교과서로 역사를 배우면서 들어본 적 없는 이름이지만 과거 일제의 탄압에 맞서 싸운 이름 없는 사람들이기도 했다.
보통 독립운동은 이름을 남기기 위한 투쟁이 아니라 부조리한 폭력에 어느 정도 저항하는 민중들의 투쟁이었다.
유명하고 유력하고 부유한 사람들은 독립운동을 불필요하게 여기고 부분적으로 변화된 세계에 적응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오늘날 성공하려면 시대에 발맞추어야 한다는 말이 있지 않습니까? 어찌 보면 친일파는 시대의 변화에 저항한 자들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는 자들이다.
덕분에 시대의 흐름을 좇던 이들의 후손들은 여전히 평화롭게 살며 많은 부와 권력을 물려받고 있다.
그에 반해 독립운동 때 목숨과 재산을 바친 이들의 후손들은 국가가 나서서 문서화하지 않는 한 아무도 그 가치를 보지 못할 정도로 열심히 산다.
어느 것이 옳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야기에서 좋아하는 정의와 인은 항상 후자의 편입니다.
당신이 일제강점기의 시대를 살아야 한다면 ‘시간과의 싸움’과 ‘시대에 발맞춰 사는 것’ 중 무엇을 선택하겠습니까?
마음을 전자로 돌이키는 것이 옳은 것 같지만 몸은 후자로 돌이키는 것이 속인의 심리라고 생각한다.
오늘은 “할 수 있다”는 질문에 절반 이상이 “10억 달러를 주면 감옥에서 1년 정도 복역할 수 있느냐”고 “할 수 있다”고 답했다고 한다.
사람들을 위한 문제. Gao가 아무리 중요해도 현실이 우선입니다.
우리 역사에서, 아니, 우리 역사뿐만 아니라 세계사를 봐도 보통 사람들의 선택이 그랬다.
그러한 선택을 하지 않은 사람들은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이름은 남기지 못하더라도 평범한 삶과 다른 삶을 사는 영웅으로 역사에 길이 남을 것입니다.
문제는 이 영웅의 처우가 그다지 좋지 않다는 것인데… .
밀양 해천항일운동테마거리에서 볼 수 있는 거리에는 령령기념관과 령령체험관이 있지만, 독립운동가들이 살던 곳도 둘러볼 수 있다.
친일파로 살았다면 대대로 지주로 살았을 텐데 친독립운동가로 살았기 때문에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지방자치단체가 관제독립운동가들의 사료를 정리하지 않았다면 그들이 이곳에서 살며 독립운동을 했다는 사실을 누가 알았겠는가.
경상남도 밀양 해천항일운동테마거리를 보면 한쪽 벽에 웹툰 벽화가 있는 거리가 있다.
이 웹툰을 보면 밀양독립운동가들의 활동이 나오는데, 거리를 천천히 걸으며 웹툰을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시대에 맞서는 독립운동과 당대 친일운동은 저를 크게 괴롭혔습니다.
전자가 공평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후자를 선택하는 삶을 살게 될지. 오늘날 우리는 시대에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추어 성장하면서 기회를 최대한 포착하는 것이 덕목 중 하나인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 정의와 불의를 논하기 전에 실생활의 문제에 대해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독립운동가들의 삶은 한심하고 한심하고 눈멀었다고 생각합니다.
다가오는 3월 1일 축제나 다음 주말 경상남도 여행을 계획 중이라면 경상남도 밀양 항일운동테마거리를 거닐어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