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소의 세계입니다.
Youth Leap 계정은 6월에 개설될 예정입니다.
지난주 금융위원회에서 보도자료를 배포한바 많은 분들이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궁금해하실텐데요.
색인
1. 유스립 계정 개요
2. 청춘도약계좌의 상품구조(개인소득에 따른 청춘도약계좌로의 기여금지급구조)
3. 유스리프 계정 조기 해지 및 가입 및 유지에 대한 확인
4. 청년도약계좌(내일채움공제, 청년희망적금, 청년내일적금) 가입 가능 여부
1. 유스립 계정 개요
청년도약계정은 청년의 중장기적 부 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사업으로 2023년 예산은 3,678억원으로 편성되었다.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주는 법과 시행령 개정을 완료하고 청년점프계좌 관리기관을 모집하기 위해 유관기관과 협의 중이다.
2023년 6월 유스리프 계좌 개설 예정
ㅇ 대상 : 총급여 5천만원(세계소득 3,800만원) 미만의 청년
ㅇ 3년 이상 가입 유지 시 기금 출연금의 40%(연 600만원 한도)를 소득공제(최대 5년)
*면세혜택만 적용되기 때문에 유스리프계좌 동시가입 가능
2. 유스리프 계정의 상품구조
청춘도약계좌는 월 최대 70만원까지 자유롭게 입금할 수 있는 상품으로 가입자는 만 19~34세 청년으로 개인 소득기준과 가계소득 기준을 충족하면 가입할 수 있다.
단, 최근 3년간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입국이 거부됩니다.
가입자는 개인의 소득수준과 예금금액에 따라 소득구분에 따라 매칭비율을 달리하여 정부부담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 소득이 4,800만원 미만이면 한도를 초과하여 납부하더라도 정부 출연금 전액을 받을 수 있도록 별도의 출연 한도를 설정하였습니다.
청년점프계좌의 기간은 5년입니다.
개인 소득 (총 급여 관련) |
자기부담한도(월) | 보험료 납입한도(월) | 기여 매칭 비율 | 기부 한도(월) |
2,400만원↓ | 70만원 | 400,000원 | 6.0% | 24,000원 |
3,600만원↓ | 50만원 | 4.6% | 230만원 | |
4800만원↓ | 60만원 | 3.7% | 22,000원 | |
6000만원↓ | 70만원 | 3.0% | 21,000원 | |
7,500만원↓ | – | – | – |
청춘도약계좌 상품은 가입 후 최초 3년간 고정금리, 이후 2년간 변동금리가 적용되며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또한 저소득층(예: 2,400만원 미만)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일정 우대금리를 부여합니다.
3-1 유스리프 계정 조기해지
청춘도약계좌 조기해지 시 개인 납부금액 외에 정부 출연금이 추가로 납부되며, 다음과 같은 사유로 면세 혜택도 청구될 수 있습니다.
➊ 가입자 사망 및 해외이주
➋참가자 퇴출
➌폐업
➍ 자연재해
➎장기간 치료가 필요한 질병
➏ 생애 첫 주택 구입
3-2 유스리프 계정 가입/유지 검토 계획
2023년 6월부터 청춘도약계좌는 결제대행 앱을 통해 대면 없이도 등록이 가능하며, 등록 시 개인소득과 가계소득이 확인된다.
세대원은 등록 당시의 기준에 따라 결정되며, 개인소득 및 가구소득은 직전 과세기간(’22) 소득으로 직전연도(’21) 소득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확인되었습니다.
* 위자료수표는 가입일로부터 매년 개인 소득을 실현하여 보험료 납부 가능 여부와 금액을 조정합니다.
4. Youth Leap 계정 중복 등록 가능성
청춘도약계좌는 청춘내일채움공제 및 청춘내일적금과 연계할 수 있으나 청춘희망적금과 중복적립은 불가합니다.
청년도약 가입은 청년희망비율 적금 만기일 또는 중도해지 시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