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몰을 운영한지 거의 4년이 되어갑니다.
별반 다르지 않은 진실들과 초기에 온라인몰을 운영하다 손해를 본 이야기들… 다 자료를 찾아보거나 플랫폼 매뉴얼만 읽어도 풀 수 있는 문제들인데 그렇지 않으면 시간이 있고 급하면 눈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작업 중 문제를 기록합니다.
※ 지극히 초보적인 내용이므로 전문가는 뒤로가기 바랍니다.
스마트스토어 상품 업로드 방법
처음으로 제품을 출시하려고 하면 그것이 무엇인지 모릅니다.
또한 카테고리를 설정하려고 하면 해당 상품이 어디에 속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카테고리를 잘못 설정하면 검색이 제대로 되지 않고, 이른바 안드로메다에 갑자기 빠져서 더 이상 검색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카테고리를 임의로 배열하면 대, 중, 소로 나뉘고 상품에 따라 세부 카테고리로 더 나누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판매자가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와 맞지 않는 카테고리를 네이버에 등록해 잘못된 카테고리에 등록하면 강제 이동하거나 판매를 중단한다고 한다.
다만, 검색율 하락으로 삭제하긴 했지만, 잘 팔리는 상품이 아닌 이상 강제로 판매를 중단하는 경우는 없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지름길이지만 판매하려는 상품이 온라인상에서 같은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다면 판매자가 어떤 카테고리에 올렸는지 보고 그 카테고리에 맞게 입력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제가 많이 사용하는 크레이트 딜리버리인데, 카테고리를 보면 어떻게 해야할지 대략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는 다른 분들이 올려주신 자료를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나, 추후 카테고리 변경이 어려우므로 판매하는 상품이 맞는 카테고리인지 다시한번 확인이 필요합니다.
상품명에 대한 말이 너무 많은데… 전문가들이 많아서 어떤게 맞는지 틀리는지 구분하기 힘드네요. 설명서대로 제조사/브랜드/제품명/제품번호 이렇게 트래킹 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어느 정도 알고리즘이 적용되고, 상위권에 오르는 걸 보니 아무리 좋은 회사라도 제품명이 있는 회사를 베껴 쓸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튼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모든 제품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니 참고하세요.
상세 페이지 등록
저의 경우 포토샵을 처음부터 배워서 쇼핑몰을 운영하면서 작업을 하지 않았습니다.
예전에는 블로그를 하면서 사진만 수정하고 Lightroom에서 사진을 편집했습니다.
Smart Store에 상품을 업로드만 하는 경우에는 Photoshop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스마트스토어의 가장 큰 장점은 마치 블로그를 하듯이 사진과 글을 작성할 수 있고, 구매자에게는 깔끔한 실물 사진을 제공하여 상품 이미지만 잘 전달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블로그를 했다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글솜씨만 있다면 상품 등록에 큰 문제가 없다.
그리고 네이버는 검색 사이트이기 때문에 상품명 키워드보다는 블로그처럼 기사를 따라가는 컨텐츠가 있으면 큰 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품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판매자가 잘 추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생수’나 ‘기저귀’ 등 생필품을 팔고 있다고 가정하면 스마트스토어에서 땀흘리면 시간낭비가 될 수 있다.
다만, 등 일반 소비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제품은 아니다.
B. 카니발에서 사용하는 스마트 키 또는 스마트 키에 삽입된 키링? 등의 특수 제품 나.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 더 적합한 상품일 수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Blog + Smart Store가 병렬로 실행됩니다.
블로그와 스마트스토어가 결합되면 초기에는 효과가 미미합니다.
어떻게 보면 6개월 동안 제품이 소진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알고리즘이 맞고 블로그가 상위에 있거나 스마트스토어가 노출되면 거기서부터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래서 스마트스토어로 갈지, 다른 플랫폼으로 갈지 아이템을 잘 고민해야 합니다.
참고로 스마트스토어는 동영상 업로드가 편리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품 키 정보 설명
다른 플랫폼 기반은 상세 페이지에 대한 참조로 대부분의 주요 상품 정보에주의를 기울이지 않습니다.
오픈마켓을 기반으로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내놓으면 각 MD들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많은 쿠폰이나 이벤트를 진행하여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그런 것이 없습니다.
무조건 소비자의 검색 기반이므로 필수 상품 정보를 최대한 많이 입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마트스토어 매뉴얼에만 있는 내용이고, 저도 온라인몰 운영하면서 알게 된 내용입니다.
솔루션(동시에 여러 플랫폼에서 제품 등록을 푸시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 업로드만 하고 그대로 두는 대신 한 번 더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내고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데이터를 플랫폼에 맞게 다시 수정해야 하는데 가장 많이 일해야 하는 곳이 바로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다.
하지만 많은 경우 수수료가 다른 플랫폼보다 저렴해서 어쩔 수 없이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상품 등록을 위해 네이버를 수동으로 운영해야 하고 나머지 플랫폼은 솔루션 프로그램으로 연동됩니다.
등록된 제품의 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고객이 필요로 하는 제품이 어떻게 마케팅되고 판매되는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시간을 들여 자료를 업로드하고 모든 노력을 기울이는 편입니다.
검색 설정(가장 중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곳은 네이버 검색 기반의 온라인 쇼핑센터이기 때문에 상품명(키워드)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공부를 조금이라도 해 본 사람에게는 이미 좋은 글의 키워드가 포화 상태다.
이 때문에 대기업은 제품을 삶의 최전선에 놓을 수 없으며 기회를 포착해야 하며 그것이 태그 항목입니다.
태그 하면 아마 인스타그램에서 흔히 사용하는 #태그 를 떠올리실 텐데 딱 맞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 처음 상품을 등록할 때 태그가 뭔지 몰라서 무작정 상품 키워드를 넣었는데 알고보니 태그 사전에 등록된 태그만 검색에 쓰였다.
예를 들어 세탁볼을 판매할 때 상품명이나 키워드로 “튼튼한 세탁볼”을 입력하면 그 뒤에 숫자가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세탁 공 세트에는 숫자가 있습니다.
사실 숫자의 의미를 자세히는 모르지만 일련번호나 태그로 등록된 숫자처럼 보이지만 여전히 숫자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태그를 입력하고 있다.
숫자가 없으면 사전에 태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이고,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태그를 입력하려고 해도 의미가 없다는 뜻입니다.
“검색에 적용된 태그 확인” 부분을 클릭하면 해당 단어가 태그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확인 후 입장하시길 권장합니다.
사실 키워드 검색을 통해 상품이 잘 팔리도록 하면 최고 중의 최고라고 할 수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으니 그냥 내가 하는 과정이 나무를 심고 돕는 일이라고 표현하고 싶다.
뿌리부터 잘 자라도록
태그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든 없든 태그 입력부에 “세탁”이라고 입력해도 추천 태그가 나오므로 태그 입력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처음 온라인몰을 시작했을 때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 상품을 올리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았습니다.
다만 간혹 시간이 오래 걸리는 부분도 있고 동작 중 에러가 발생하는 부분도 있는데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은 접했을 때 신경쇠약이 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초심자일 때도 그랬고 머릿속의 생각과 경험은 신경 쓰지 않기 때문에 계속 추적하는 데이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