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수당 지급일-2024년 육아수당 국세청 결과
안녕하세요, 저는 경제/정책 블로거 “투잡 아빠”입니다.
이제 8월이 시작되었습니다.
8월에는 휴가와 여행지에 대한 검색이 늘어나지만 경제 분야에서는 “일, 자녀 부양”에 대한 검색이 늘어납니다.
이제 나올 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 자녀 부양금 지급일이 언제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차 1. 자녀 부양금 2. 자녀 부양금 지급 조건 3. 지급일 4. 결론 1. 자녀 부양금 “자녀 부양금이란 무엇인가?” 자녀 부양금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먼저 몇 가지 오해를 해소하겠습니다.
때때로 사람들은 자녀 부양금과 근로 부양금을 혼동합니다.
두 가지 모두 신청 및 지급 기간은 같지만 수혜자 기준은 전혀 다르지만 많은 사람들이 같은 정책이라고 오해합니다.
신청 및 지급 기간이 같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근로 부양금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근로 부양금”으로 검색하여 확인하세요. 이 게시물은 자녀 수당에 대한 내용입니다.
다시 한번 아동수당에 관해 이야기해 보죠. 이 정책은 (저소득 가구의 육아 지원을 위해 부부 합산 소득이 7천만 원 미만이고 부양자녀(18세 미만)가 있는 경우 자녀 1인당 최소 50만원, 최대 100만원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1인당 최대 금액이 100만원이기 때문에 실제로 매우 도움이 되는 정책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2023년에는 소득 기준이 4천만 원이었기 때문에 신청 대상 범위가 좁았습니다.
하지만 2024년에는 기준이 3천만 원 크게 인상되어 소득 7천만 원 이하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기준에 따라 지급을 받을 수 있는 가구가 약 32만 가구 더 늘어날 것이라고 합니다.
나도 받을 수 있어요!
2. 아동수당 지급 조건 및 대상 “누가? 얼마? 받을 수 있는 정책일까?” 자격 조건을 살펴보면 정확히 어떤 가구가 아동수당을 받을 수 있는 금액과 수혜금액은?단독소득가구단독소득가구겹소득가구총소득기준금액해당없음7천만원미만최대지급금액자녀 1인당 100만원(최소 50만원) 위 표를 보시면 기준이 나와있습니다.
먼저, 단독소득가구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당연하죠?부양가족이 없으므로 단독소득가구라고 합니다.
단독소득가구와 겹소득가구의 기준은 동일합니다.
첫째, 총소득기준금액이 7천만원 미만이면 신청이 거부됩니다.
여기서 최소금액과 최대금액을 표시한 것은 7천만원 미만이더라도 소득기준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는 뜻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소득이 낮을수록 최대 금액을 받을 가능성이 높고, 7천만 원에 가까울수록 최소 50만원 이상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최소 50만원 이상이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될 듯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놓쳐서는 안 될 조건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자산’ 기준입니다.
가구의 합산 자산(가구, 토지, 건물, 예금 등)이 2억 4천만 원을 넘으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자산 기준은 2억 4천만 원 이하 가구에만 지급된다는 뜻입니다.
또한 자산이 1억 7천만 원에서 2억 4천만 원 사이인 경우 결정된 금액의 50%만 지급된다는 점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3. 양육수당 지급일 “지급일은 언제인가요?” “가장 궁금한 건 언제 지급되나요?” 먼저 국세청 자료를 잠깐 살펴보면 “육아수당의 모든 조건은 신청 조건과 금액을 제외하고 근로장려금과 동일하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럼 근로장려금은 언제 지급될까요?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9월 말 이전에 지급된다고 적혀 있습니다.
지금은 8월이니 9월이 두 달 남았죠?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과거 내역을 보면 9월 말이 아니라 8월 말경에 지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2년 지급일: 8월 24일 지급 2023년 지급일: 8월 29일 지급 지난 2년간 지급 일정을 보면 9월 전에 조기 지급이 이루어졌습니다.
정부에서 최대한 빨리 지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서 최대한 빨리 지급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도 비슷한 시기에 지급될 것 같습니다.
4. 결론적으로 자녀수당의 경우 소득요건이 완화되어 지급액이 최대 20만원까지 늘어났는데, 이는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근로소득세액공제 기준도 조금은 높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가격을 비교해보면 맞벌이 가구나 단독소득 가구의 기준이 너무 높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자산기준에서 부채를 공제하지 않는 부분도 조금은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로써 “2024년 자녀수당 지급일 국세청 결과는 언제일까?”라는 글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