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개인연금 퇴직연금 예상 수령액을 한번에 조회한다(feat. 국민연금 수급증서)

#통합연금포털 #국민연금수급증서

안녕하세요. 택과장입니다.

아버지가 올해부터 국민연금을 받는다는 국민연금 수급증서를 받았습니다.
제 노후만 어떻게든 해보려고 사실 부모님의 노후에 대해서는 별로 신경쓰지 않았지만..

수급증서를 보니 여러 가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1. 생각보다 부모님 연금이 많지 않아서 걱정 – 아이들 키운다고 많이 납부를 못했겠네요.
  2. 2) 연금에 대해 일찍 알았으면 좋았을 텐데 – 내가 신입사원 때 연금과 노후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면 부모님의 노후도 조금이나마 편해질 수 있지 않았을까..
  3. 3) 국민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시기는 생각보다 많이 늦다-연금을 받는 나이 60대. 금방 오는 것 같았지만 부모님이 지금 와서 받는 것을 보면 생각보다 연금은 ~~씨 나중에 받는 것…- 55세에 퇴직 후 (목표) 연금 수령 전(아마 그 정도면 연금 수령 연령 70~80세 예상)까지 여유롭게 생활하려면 월세, 배당 등의 현금 흐름이 무조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출처 : 네이버

포토비 타티아나 폰 언스플래시 우리도 미래에 받을 연금 수령액을 어느 정도 미리 예측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국민연금은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는데 개인연금 및 퇴직연금, 주택연금까지 함께 보고 싶다면 금감원 ‘통합연금포털’을 사용하면 됩니다.

휴대폰 인증,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 후 ‘마이연금 조회’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그럼 제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얼마인가요?

현재 가치 기준으로 약 146만원입니다.

앞으로 연봉이 높아짐에 따라 국민연금에 납부하는 금액이 커질수록 예상 연금 수령액도 커지겠지만 315개월(약 26년)을 더 낸다고 가정하고 받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55세에 은퇴하는 게 목표이기 때문에 저는 최대 20년밖에 납부하지 못하는데다 국민연금을 90년대생부터는 못 받을 수도 있다는 얘기도 많은 걸 보면 좀 더 보수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를 더 만들어야죠)

통합연금포털에서는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개인연금, 퇴직연금(DB, DC, IRP), 주택연금 예상 수령액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들도 국민연금과 마찬가지로 제가 미래에 낼 수 있는 최대 기간만 냈을 때를 가정한 금액입니다.
납입기간뿐만 아니라 운용수익률에 따라 더 많아질 수도, 적어질 수도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그래프로 직관적으로 연금 예상 수령액을 볼 수도 있습니다.
(연금 지급 시점 및 기간은 상세하게 수정할 수 없음)

이렇게 한번이라도 관심을 가지고 본 사람과 안 본 사람의 노후는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조회해보시고 내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보내셨으면 좋겠어요.